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입사하기 전에 다른 회사에 근무한 이력이 있어서 안된다고 하여 재직자용으로 가입했음.
내일채움공제 사이트에
1. 법인 공인인증서로 가입
2. 가입할 근로자 공인인증서로 가입
하여 법인 공인인증서로 가입신청을 넣으면 된다.
중간에 급전 필요하면 대출도 가능한 듯하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란
정부, 중소(중견)기업 사업주, 청년근로자(만15세 이상 34세 이하,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이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을 가입기간(5년)에 따라 장기재직한 청년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
지원내용
청년·기업·정부가 함께 적립 -> 5년 근속 시 3천만원 자산형성
- 청년 : 5년간 720만원 적립(최소 월 12만원 × 60개월)
- (납입방식) 사전에 설정한 청년근로자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 매월 정해진 날짜(5일, 15일, 25일 중 청년근로자 본인이 선택)에 자동이체
- 기업 : 5년간 1,200만원 적립(최소 월 20만원 × 60개월)
- 세제혜택 : (청년) 기업납입분에 대한 근로소득세 감면(50%)
(기업) 기업납입분은 전액 손금산입 및 세액공제(25%) - 납입방식 : 사전에 설정한 중소기업 명의 시중은행 계좌에서 매월 정해진 날짜(5일, 15일, 25일 중 중소기업이 선택)에 자동이체
- 세제혜택 : (청년) 기업납입분에 대한 근로소득세 감면(50%)
- 정부 : 3년간 1,080만원 적립(3년간 7회 분할적립)
- (적립방식) 3년간 총 7회(1, 6, 12, 18, 24, 30, 36개월)에 걸쳐 성과보상기금에 적립
- 청년근로자 공제납입금 또는 중소기업 기여금을 다음의 차등적립방식으로 납입할 수 있으나, 정액적립방식과 차등적립방식간의 변경과 차등적립방식의 년차별
금액조정은 불가
청년근로자 공제납입금 월 납입액 8만원 10만원 12만원 14만원 16만원 중소기업 기여금 월 납입액 12만원 15만원 20만원 25만원 28만원
'지원금 > 국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신청 기준 및 방법, 업종별 소기업 매출액 기준 (0) | 2021.10.29 |
---|---|
울산시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종합대책' 발표 (0) | 2021.10.28 |
상생소비지원금) 월 최대 10만원 캐시백 (0) | 2021.10.07 |
소상공인버팀목자금플러스) 행정명령 이행 확인서 발급방법 (0) | 2021.09.30 |
울산일자리재단 구독하고 울산페이 3만원 받자 (0) | 2020.11.27 |